▲ 뉴욕증권거래소 트레이더
올해 들어 미국과 일본, 인도 등 해외 주요 증시들이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는 랠리를 펼치면서 국내 투자자금도 해외 주식형 펀드로 이동하고 있습니다.
오늘(25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23일까지 설정액이 10억 원 이상인 해외 주식형 펀드의 평균 수익률은 3.58%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같은 기간 마이너스 수익률(-0.17%)을 기록한 국내 주식형 펀드와 대비됩니다.
국가별로 일본이 11.04%로 가장 높은 평균 수익률을 보였고, 인도는 7.11%, 북미는 6.48%이었습니다.
다만 중국은 -2.95%를 기록했습니다.
개별 펀드별로 보면 일본 주식 펀드 중에서는 ‘KB 연금 재팬 인덱스 증권 자투자신탁(주식-파생형)C-E 클래스'(14.35%), 인도는 ‘삼성 클래식 인도 중소형 FOCUS 연금 증권 자투자신탁UH[주식]_S-P'(12.88%)가 가장 높은 수익률을 보였습니다.
북미 주식 펀드 가운데에서는 ‘AB 미국 그로스 UH증권 투자신탁(주식-재간접형)종류S-p'(10.20%)의 수익률이 가장 높았습니다.
해외 주식형 펀드들이 이처럼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면서 투자 자금도 몰리고 있습니다.
연초 이후 북미 주식형 펀드에는 9천182억 원, 인도와 일본 주식형 펀드에는 각각 2천952억 원, 867억 원이 순유입됐습니다.
이는 올해 들어 미국과 일본, 인도 증시의 대표 주가지수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데 따른 영향으로 보입니다.
특히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의 실적이 전망치를 뛰어넘으면서 AI(인공지능) 산업 성장에 편승한 증시 랠리가 지속될 것이라는 기대에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 증시들이 고공행진을 하고 있습니다.
미국 증시에서는 지난 22일(이하 현지시간)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가 1.18% 오른 39,069.11로 장을 마감하면서 사상 처음으로 39,000선을 넘어섰습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지난해 1월 이후 최대 상승률(+2.11%)을 기록하며 역대 최고 기록을 갈아치웠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도 2.96% 오른 16,057.44로 2021년 11월 이후 처음으로 16,000선을 넘겼습니다.
일본 역시 대표 주가 지수인 닛케이225 평균주가(닛케이 지수)가 지난 22일 39,098.68을 기록하며 역대 최고치를 돌파했습니다.
이는 ‘버블 경제’ 시기인 1989년 12월 29일 기록한 장중 사상 최고치(38,957)와 종가 기준 사상 최고치(38,915)를 34년 2개월 만에 모두 갈아치운 것입니다.
닛케이 지수는 올해 들어 16%가량 상승하는 등 강세 흐름을 보여왔습니다.
인도의 니프티 50 지수도 22일 22,217.45를 기록하는 등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